제이앤엠뉴스 | (재)고성문화재단(이사장 함명준)은 5월 16일부터 25일까지 고성군 일원에서 개최되는 ‘2025 공예주간’ 행사를 운영한다.
올해로 8회째를 맞는 ‘2025 공예주간’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공예 축제로, 전시·체험·마켓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공예를 즐길 수 있는 행사이다. 고성군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선정되며 공예 콘텐츠 거점도시로의 위상을 강화하게 됐다.
올해 공예주간 주제는 ‘이음과 연결의 공예, 당신과 함께 그린 고성(Connect Craft, Green Goseong)’이다. 강원 영동권 공예문화의 확산과 연결을 도모하고, 지역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끄는 다양한 공예 체험 및 전시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특히 봉수대해변 등 주요 관광지와 연계한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상생과 공예문화 향유 기회를 넓히고, 공예를 중심으로 한 관계인구 확대도 기대된다.
공예주간 운영장소는 5곳이다.
르네블루 바이 워커힐 호텔 로비에는 지역 및 외부 작가 10인의 유리, 금속, 도자, 목칠 등 현대 공예작품 전시, 켄싱턴 해변에서는 환경 보호를 주제로 한 야외 전시 및 해양 쓰레기 활용 새활용(Upcycling) 공예 체험, 로컬 스팟인 서로재에서는 공예와 차 문화, 공연이 어우러진 체험형 프로그램 운영으로 복합문화 공간화, 봉수대해변에서는 고성을 포함한 속초, 강릉, 양양의 공예가 및 공방의 플리마켓과 체험 프로그램이 열려, 향후 강원 영동권 공예문화의 중심지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달홀문화센터에서는 공예 작가와 지역주민이 3회차의 공예 워크숍을 통해 제작된 작품이 전시된다. 가죽과 금속, 복합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 참여한 주민작가의 결과물을 통해 지역 공예문화의 확산을 기대하게 만든다.
고성문화재단 관계자는 “고성군이 공예주간에 2년 연속 선정되면서 공예문화 확산과 역량 강화가 이뤄질 수 있는 계기가 됐다.”라며 “친환경, 친자연을 반영하는 고성 고유의 공예문화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고성문화재단은 공예주간 종료 이후에도 지역 공예가와 주민을 연계한 공예 체험프로그램, 공예문화 포럼, 고성명태축제와 연계한 ‘굿럭 고성 크래프트(Good Luck Goseong Craft)’ 운영, 지역 공예가 발굴 및 아카이빙 등 지속적인 공예문화 진흥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뉴스출처 : 강원도 고성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