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국회 도시재생 정책포럼’에서 사후관리 중요성 강조

도시재생 공모 한계 넘어 자생력 있는 공동체 확보 방안 제시

 

제이앤엠뉴스 | 경남도는 20일(오후 1시 30분) 국회의원회관 제5 정책간담회실에서 열린 ‘제2차 균형성장과 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도시재생 4.0 정책토론’에 참석해 도시재생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사후관리 체계화의 필요성 등을 강조했다.

 

이번 포럼은 국토교통부·한국토지주택공사·경상남도 후원, 무소속 최혁진 국회의원 등 공동주최, (사)균형성장혁신·(사)도시재생협치포럼·(사)미래와연구소가 주관했다. 특히 경남도는 광역자치단체로서는 유일하게 후원에 참여해, 중앙정부·국회·전문기관과 함께 논의를 주도했다.

 

또한, 지난 6월 16일 양산시와 ‘제1차 도시재생 정책포럼’을 공동주최한 경남도는 지역 차원을 넘어 국회 차원의 논의에도 참여해 연속적으로 정책 의제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포럼에서는 △안정희 도시재생협치포럼 상임이사의 도시재생 4.0 정책방향, △이주원 탄탄주택협동조합 상임이사의 사회연대경제 기반 균형성장 모색, △박진호 경남연구원 도시재생지원센터장의 광역과 시군의 도시재생 현실과 추진과제, △정오락 충남도시재생지원센터장의 광역·시군 단위 중간지원체계 구축 등 다양한 발제가 이어졌다.

 

경상남도 도시재생지원센터장은 발제를 통해, 광역과 시군이 당면한 현실적 과제를 짚으며 법령 개정, 도시재생 중간지원조직 법인화, 사후관리 체계 강화 등 구체적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김복곤 도 도시정책과장은 토론에서 사후관리 지원사업 방향을 소개했다. “예산 2억 4천만 원을 편성해 완료지구 15곳을 대상으로 모니터링과 활성화 사업을 지원하며, 운영 초기 3~5년 집중 지원으로 안정적 정착을 유도하고 있다”며 “지역공동체 활성화, 마을자원 기반 일자리 창출, 주민 역량강화 교육 등 여러 사업을 병행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49곳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도는 이번 국회 정책포럼을 통해 도시재생의 지속가능한 운영체계와 사후관리의 중요성을 새 정부에 전달하고, 지역 공동체 자생력 확보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앞으로도 지역 포럼을 통해 사후관리의 중요성을 확산시키며, 도시재생이 지속 가능한 공동체 기반 사업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정책적 실효성을 높여 나갈 방침이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



금주의 핫 뉴스

더보기